본문 바로가기
심리 공부

행동치료의 특징 3가지

by ..... ..... ... 2025. 2. 4.
반응형

행동치료의 주요 특징 3가지

 

 

  1. 문제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설명하기
  2. 학습과정을 활용한 행동수정
  3. 체계적인 효과분석과 절차적 접근

 

1. 문제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설명하기

"막연한 감정보다는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을 중심으로 다뤄요"

행동치료에서는 내면의 감정보다는 실제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우울하다'라는 표현보다는 "하루 종일 방에만 있고, 식사를 거른다"처럼 행동을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그래야 문제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서 상담진행이 더 효적이고, 내담자도 스스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시)

(X) "불안해요." -> 감정적인 표현, 모호함

(O) "발표할 때 심장이 빨리 뛰고 손에 땀이 나요." -> 구체적이고 측정가능

 

 

 

2. 학습과정을 활용한 행동수정

"문제 행동은 학습된 것이므로, 다시 좋은 방향으로 배울 수 있어요."

행동치료는 학습원리를 기반으로 한 치료법인데요. 즉, 불안, 공포, 강박 같은 행동도 학습된 것이므로, 새로운 방식으로 다시 학습하면 바꿀 수 있습니다.  내담자가 "이건 내 성격이야"라고 단정 짓지 않고, 행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게 됩니다.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더 건강한 방식으로 대처하는 법을 배울 수 있어요. 

 

예시) 

개에게 물려서 "개=위험"이라고 학습된 사람이 개를 보면 불안해함. 

행동치료에서는 작은 강아지와 점진적으로 친해지는 연습을 통해 공포를 줄이는 기법을 사용함. 

 

3. 체계적인 효과분석과 절차적 접근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해요."

 

 

 

 

행동치료에서는 쳬계적인 절차를 거쳐 치료 기법을 적용하고,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분이 좋아졌다는 것이 아니라, 실제 행동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효과가 입증된 방법을 사용해야 실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