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동 청소년 상담에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고려하면, 각 발달 단계에 따라 상담 접근 방식과 주의점이 다른데요.
1. 전조작기(Preperational Stage, 2~7세)
- 논리적 사고가 미숙하며 상징적 사고 (Symbolic thingking)를 사용한다.
- 자기중심적사고(egocentrism)로 인해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 물활론적 사고( 무생물에도 생명과 감정이 있다고 믿는 사고방식- 바람이 화가 나서 나무를 흔드는 거야/(장난감) 곰돌이가 아파서 울고 있어)와 비논리적인 추론을 보인다.
- 언어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 지지만, 개념적 사고가 제한적이다.
▶ 상담의 특징 및 주의점
- 놀이치료, 그림그리기, 이야기 치료등 비언어적 접근법이 효과적이다.
- 간단한 언어를 사용하여 설명해야 하며, 구체적인 사례나 시각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상징적놀이(인형놀이, 역할극)를 활용하여 내면의 생각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 지시적이고 반복적인 질문은 피하며,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끌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7~12세)
- 논리적 사고 능력이 발달하며, 구체적인 사물과 사건을 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 보존개념(conservation)이 형성되며, 탈중심화(Decentering)능력이 발달한다.
- 가역적 사고(어떤 행동이나 과정이 반대로 진행되어도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 수학적 개념: 5+3=8/3+5=8 , 물리적 변형: 물컵에 든 물을 다른 모양의 컵에 옮겨도 물의 양이 변하지 않는다는 보존개념의 이해, 논리적 사고: 원인과 결과를 거꾸로도 생각할 수 있는 능력(학교를 안 가면 숙제를 안 할 거고, 숙제를 안 하면 선생님께 혼날 거야)) 와 분류 능력이 발달하지만, 여전히 추상적 사고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 상담의 특징 및 주의점
-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문제를 설명하고 해결 방법을 탐색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 역할극, 그림, 스토리텔링을 통해 감정과 사고를 표현하도록 돕는다.
- 인과 관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므로, 논리적이고 단계적인 접근 방식으로 문제해결을 도와야한다.
- 상담자는 아동의 정서적 반응을 존중하며, 자율적인 표현을 유도해야 한다.
형식적조작기( Formal Operational Stage, 12세 이후)
- 추상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며, 가설 연역적 사고(어떤 문제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추론 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방식)가 발달한다.
- 자기 중식점 사고가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상상적 청중(자신이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주목을 항상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고방식)과 개인우화(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이며,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믿는 사고방식) 현상이 두드러 진다.
- 도덕적 판단이 발달하며,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탐색한다.
▶ 상담의 특징 및 주의점
- 인지적 접근이 효과적일 수 있다.
-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하며,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정체성 형성과 관려된 고민에 대한 개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사회적 비교와 자아 개념이 중요한 시기이므로, 상담자는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 상담과정에서 청소년이 자신의 사고를 확장하고 다양한 관점을 고려할 수 있도록 질문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심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정에서 내담자 침묵의 의미 (0) | 2025.02.03 |
---|---|
상담 종결 시 다루어야할 문제 (0) | 2025.02.02 |
벡(Beck)의 인지적 오류 (1) | 2025.01.24 |
전이와 역전이란? (0) | 2025.01.21 |
MBTI유형별 특징과 성격 이해하기 (1)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