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공부

심리검사 결과의 올바른 해석방법

by ..... ..... ... 2025. 3. 24.
반응형

심리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해석 관점을 설정하고, 통계적 개념을 이해하며, 개인 간  및 개인 내적 차이를 고려하고, 측정오차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석의 관점을 명확하게 설정하기

심리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우선 검사 목적과 상황에 맞는 해석 관점을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진단을 위한 해석인지, 상담을 위한 이해 차원인지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달라질 수 있는데요. 검사자의 이론적 관점이나 임상 경험도 해석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인식하고 일관된 틀 안에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계적 개념을 바탕으로 한 이해

검사 결과는 점수 그 자체 보다, 그것이 어느 정동 상대적 위치를 의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다. 표준점수, 백분위, 평균과 표준편차등 통계개념을 바탕으로 점수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보다 객관적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측정오차를 고려하기

심리검사는  완벽한 측정 도구가 아니며, 항상 일정 정도의 오차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신뢰도와 표준오차의 개념을 고려하여 해석시 점수의 범위를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단정적 결론을 피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개인외적 & 개인 내적인 차이 확인하기

개인간 차이와 개인 안에서의 차이를 구분해서 해석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과 더불어, 한 개인 내부의 다양한 심리 영역 간 점수차이를 함께 살펴야 보다 입체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2025.03.07 - [심리 공부] - 사티어 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모델의 의사소통 유형

 

사티어 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모델의 의사소통 유형

사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 의사소통 유형 가족이나 대인관계에서 사람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하는데요.  스트레스 상황에서 주로 보이는 의사소통 패턴을 다섯 가지

ma-eum-story.tistory.com

2025.03.07 - [심리 공부] - 상담 종결 시 무엇을 다루어야 할까?

 

상담 종결 시 무엇을 다루어야 할까?

상담은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내담자가 변화를 경험하고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상담이 끝나는 순간에도 감정적 정리가 필요하며, 이를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아쉬움이나 혼란이 남을 수

ma-eum-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