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공부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K-WAIS)의

by ..... ..... ... 2025. 3. 25.
반응형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K-WAIS)는 성인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검사로, 여러 소검사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인지영역을 측정합니다. 아래는 각 소검사와 그에 해당하는 측정항목에 대한 설명입니다. 

 

 

 

 

추상적 사고: 공통성, 토막짜기, 행렬추론

  • 공통성: 두 개의 단어를 제시하고 그 사이 공통점을 찾아내는 과제로, 개념적 사고와 범주화 능력을 평가합니다. 
  • 토막짜기: 주어진 모양을 토막을 사용하여 재현하는 과제로, 시각-운동 협응과 분석적 사고 능력을 측정합니다. 
  • 행렬추론: 불완전한 행렬 패턴을 완성하는 과제로, 유추능력과 추상적 추론능력을 평가합니다. 

 

장기기억: 상식, 빠진 곳 찾기

 

  • 상식: 일반적인 지식과 정보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며, 장기적인 정보 저장과 인출능력을 쳥가합니다. 
  • 빠진 곳 찾기: 그림에서 누락된 부분을 찾아낸 과제로, 시각적 장기기억과 세부사항에 대한 주의력을 측정합니다. 

 

시각기억: 빠진 곳 찾기, 바꿔쓰기, 동형찾기

 

  • 빠진 곳 찾기: 시각적 세부사항을 기억하고 인식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 바꿔쓰기: 기호와 숫자의 대응관계를 학습하고 이를 빠르게 적용하는 과제로, 시각적 학습과 기억능력을 측정합니다. 
  • 동형찾기: 주어진 기호와 동일한 것을 여러 선택지 중에서 찾아내는 과제로, 시각적 탐색과 단기 기억 능력을 평가합니다. 

 

 

청각기억: 숫자, 산수, 순서화

  • 숫자: 일련의 숫자를 듣고 그대로 반복하거나 역순으로 말하는 과제로, 청각적 단기기억과 작업기억 능력을 측정합니다. 
  • 산수: 청각적으로 제시된 산출 문제를 암산으로 해결하는 과제로, 청각적 작업기억과 집중력을 평가합니다. 
  • 순서화: 무작위로 제시된 숫자와 문자를 순서대로 재배열하는 과제로 청각적 작업기억과 순서화 능력을 측정합니다. 

 

사회적이해: 이해, 차례 맞추기

 

  • 이해: 일상적인 상황이나 사회적 규범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제로, 사회적 판단력과 상식적인 추론 능력을 평가합니다. 
  • 차례 맞추기: 일련의 그림을 논리적인 순서로 배열하는 과제로, 사회적 상황 이해와 시간적 순서 파악 능력을 측정합니다. 

 

시간-운동 속도: 모양 맞추기, 바꿔 쓰기, 동형찾기

 

  • 모양 맞추기: 제한된 시간 내에 단순한 도형을 완성하는 과제로, 시각-운동 속도와 정확성을 평가합니다. 
  • 바꿔쓰기: 기호와 숫자의 대응관계를 빠르게 적용하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 동형찾기: 주어진 기호와 동일한 것을 찾아내는 과제로, 시각적 탐색 속도와 정확성을 평가합니다. 

 

2025.03.24 - [심리 공부] - 심리검사 결과의 올바른 해석방법

 

심리검사 결과의 올바른 해석방법

심리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해석 관점을 설정하고, 통계적 개념을 이해하며, 개인 간  및 개인 내적 차이를 고려하고, 측정오차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a-eum-story.tistory.com

 

 

2025.02.02 - [심리 공부] - 임상심리 자문의 과정, 이렇게 진행됩니다. 임상자문의 5단계

 

임상심리 자문의 과정, 이렇게 진행됩니다. 임상자문의 5단계

임상심리학 자문이란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의 의견을 제공하는 과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임상심리 자문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해하지만, 막상 경험해 보지 않으

ma-eum-story.tistory.com

 

 

 

 

2025.02.02 - [심리 공부] - 상담 종결 시 다루어야할 문제

 

상담 종결 시 다루어야할 문제

상담을 마칠 때 마지막으로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한데요.   1. 상담이 끝날 때의 감정 나누기"상담이 끝나니 어떤 기분이 드나요? " 상담을 하면서 상담자와 정이들 수도 있고, 끝나는 것이 아

ma-eum-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