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은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내담자가 변화를 경험하고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상담이 끝나는 순간에도 감정적 정리가 필요하며, 이를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아쉬움이나 혼란이 남을 수 있는데요. 효과적인 상담 종결을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상담과정을 되돌아보고 평가하기
상담에서 다룬 내용과 되돌아보면서 배운 점과 소감을 정리합니다. 이를 통해 상담의 의미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러 단계에서 일어나 변화의 과정을 돌아보고 처음 상담을 왔을 때 보다 어떤 성장이 있었고, 상담목표가 얼마나 달성했는지 평가해 봅니다. 상담을 통해 얻은 성과를 명확히 하고, 자신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의 재발이 올 수 있음을 인지하기
상담 이후에도 증상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환경적 요인이 악화되는 경우 과거의 모습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언제든 다시 상담받을 수 있음을 알리기
필요할 때 언제든 다시 상담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려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도움이 필요할 때 스스로 요청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알림은 상담이 끝나도 혼자가 아님을 인식하면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자기 이해와 성장을 지속하도록 격려하기
상담 이후에도 스스로 감정을 탐색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기쓰기, 명상, 자기 성찰등의 방법을 안내하면 상담 이후에도 자기 탐색을 이어나가면서 건강한 심리적 자립을 이루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의존성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종결은 내담자 뿐만 아니라 상담자에게도 상실감을 주며, 내담자에게 특히 더 나타나는데요. 내담자의 경우 종결을 한다는 생각에 불안과 공포, 분노와 절망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이러한 심리적 상황을 이해하고 깊은 공감의 자세로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더 많은 글 보기]
'심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치료의 주요특징 3가지 정리 (0) | 2025.03.08 |
---|---|
단회 상담에서 강조되어야 할 원리 (0) | 2025.03.07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의한 상담의 특성 (0) | 2025.03.03 |
임상심리 자문의 과정, 이렇게 진행됩니다. 임상자문의 5단계 (0) | 2025.02.06 |
심리검사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방법 (0) | 2025.02.05 |